2019. 3. 13. 11:24ㆍ[정리] 직무별 개념 정리
강의 주소 : https://www.youtube.com/watch?v=XSwWn1M2XYg&t=437s&app=desktop
1. 아키텍처 발전사
전통적인 아키텍처
전통적인 아키텍처 + 이중화 + 로드 밸런싱
지금이야 서비스가 2개라서 괜찮지만 기능이 계속 늘어나면 서버가 엄청 커짐
=> 새로운 사람이 들어왔을 때 시스템을 파악하기가 어려워진다.
=> 후폭풍을 예상할 수가 없으니 코드를 건드리기가 무서워진다.
=> 최신기술을 함부로 도입할 수 가 없다.
=> 시스템이 커지니까 통배포가 어렵다
=> 기능을 때서 분리하는방식으로하자
2. 시스템을 확장하는법 (xyz 확장)
x축 확장 : 장비를 늘린다.
y축 확장 : 기능 분할
z축 확장 : 같은 성질을 가지는 애들을 분리하는 법
x축 확장 : 장비를 늘린다.
전통적인 아키텍쳐에서 이중화 + 로드밸런싱으로 확장하는 방식
그런데 이제 이런식으로 장비를 늘리는 방법으로는 확장하기 어렵다.
배포하기가 어렵고 문제가 생겼을 때 영향력을 판별하기 힘들다.
=> 기능과 DB를 분리하자.
y축 확장 : 기능 분할
z축 확장 : 같은 성질을 가지는 애들을 분리하는 법 (데이터베이스 파티셔닝)
3. MSA
MSA 가 나온 배경
Domain Driven Desgin
Continuous Delivery
On-demand virtualization
Elastic search
Scalable
Resilience
Polygot programming
Infrastructure Automation
Agile
Reusability
Self-government Team
MSA의 특징
1. 작다
2. API로 다른 서비스와 연계된다.
3. 자율적이다
4. 한 가지 일을 잘하는데 초점을 맞춤
MSA 에서의 자율성
특정 MSA를 만드는데 어떤 형태로 만드는지에 대해서는 개발자 마음대로 만들수 있도록 하자.
-> 나는 이 기술을 사용하고 싶다.
-> OK 너맘대로 만들어라
이게 가능하다.
MSA의 장점
기술적으로 여러가지를 섞어서 쓸 수 있다.
서비스가 쪼개져서 영향력이 적다.
서비스가 쪼개져서 배포가 쉽다.
서비스가 쪼개져서 확장성이 좋다.
조직 할당도 MSA 단위로 할 수있다.
교체가 쉽다. -> 서비스가 별로면 빨리 버릴 수 있다.
MSA 단점
복잡해짐
DB간의 Transaction 관리가 힘들다.
테스트가 힘들다.
배포화 시스템이 자동화가 되있지않으면 어렵다.
여러 서비스를 거치는 경우 개발이 어렵다.
MSA 이전에 비슷했던 SOA
옛날에 SOA라는 방식도 있었다.
그런데 SOA는 큰 대기업이 SOA 방식을 솔루션으로 파는 방식이었다.
SOA 는 SOA, XML 기반으로 통신했다.
MSA 역사
어떤 큰 기업이 주도하는게 아닌 서비스 회사들이 주도해서 개발하다보니 이러한 형태를 띌 수 밖에 없게 됨
현실에서 검증된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
오픈 테크놀로지 기반이라서
REST, JSON 기반
MSA를 구현하는 팁
API 를 먼저 정의하라. API가 정말 중요하다.
API 를 REST Maturity level 2 이상이 되도록 해라
API 문서를 유지해라 - swagger
ORM 을 활용하라
DB에 의존하지마라
도메인 내부에서 의미있는 값을 외부에 노출하지마라
MSA가 별 설정 없이 바로 기동 가능하게 하라
MSA 에서의 고민과 API Gateway
클라이언트와 서비스가 여러개 쪼개지면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각 마이크로 서비스들이 추가될 때마다 앞단의 게이트웨이를 계속 구현해줘야한다면?
1. LB를 마이크로 서비스 별로 추가해줘야함
2. 인증도 마이크로 서비스 별로 구현해야함
3. 로깅도 마이크로 서비스 별로 구현해야함
4. …
=> 중복 투자에 효율성 낭비
=> 외부 API 호출에 대해서 방어해야한다.
=> API Gateway를 사용하자
=> API Gateway가 외부의 호출을 방어, 인증, 권한 여부를 판단해서 서비스에 넘겨준다.
=> API Gateway에 너무 의존적인거 아니냐.
=> API Gateway도 xyz 확장하면 된다.
비효율적인 구조
API Gateway를 도입
API Gateway를 LB와 함께 확장
서비스간의 통신 방법
1. 동기 방식 : A 서비스가 B 서비스를 바로 호출하는 방식
2. 비동기 방식 : A 서비스가 Message Broker에 이벤트를 넣고 서비스 B가 가져다 쓰는 방식 (publish and subscribe)
각 마이크로 서비스 앞에 하드웨어 LB를 둔다고 치면 서비스별로 세팅이 복잡해진다.
=> HA proxy를 아예 호출하는 클라이언트 쪽에두자
=> HA proxy는 Service registry을 통해 호출을 원하는 서비스에 라우팅해준다.
=> 클라이언트 쪽에서는 서비스의 IP 정보를 담아두고 있을 필요가 없게된다.
* ) Service registry 에는 각 서비스의 IP 정보를 담고있는다.
MSA 의 현실적인 고민들
Local 에서 개발해야하는데 그 많은 서버를 어떻게 다 local 에서 띄우냐
=> 인프라적 지원이 필요하다.
초기 개발시간이 너무 오래걸림 개발 세팅이 오래걸린다.
=> 옛날에는 그냥 pull 받아서 서버를 통으로 뛰우면 되는데 라는 저항.
인프라적 요소가 없으면 원활하지 못함
서비스가 연계할 때는 협의가 너무 필요함
4. 전통 아키텍처와 MSA 비교
기존의 구조 전통 아키텍처 구조
MSA의 구조
'[정리] 직무별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pom.xml (0) | 2019.06.15 |
---|---|
배포 시나리오 (0) | 2019.06.07 |
[2019.02.09] POJO (0) | 2019.02.09 |
[2019.02.09] TDD를 위한 JUnit (0) | 2019.02.09 |